올해 첫 AC2 과정 40기가 곧 열립니다
AC2 레벨1 과정인 40기가 4월 5일부터 시작합니다. 이번에도 코로나로 온라인 기반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http://www.ac2.kr/participate

상반기 유일한 과정이고 올해 총 2번 열리게 되는 과정 중 첫번째입니다.

이 과정은 별도의 홍보 활동 없이 2009년부터 총 40기수나 열리게 되었네요. 약 400여명이 참가를 해주셨습니다. 그 분들의 입소문 하나로 이제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 제럴드 와인버그의 PSL 과정이 생각이 납니다. 1974년부터 매년 진행된 워크숍이었는데요. 저는 2010년도에 참가를 했습니다. 과정 시작 전날 호텔에 도착을 하면 웰컴 디너 파티 같은 게 열립니다. 그날이 떠오르네요. 식탁 맞은 편에 어떤 여성분이 앉으셨는데 뭐하냐 물어봤더니 유기화학자인가 뭐 그랬습니다. 신기했죠. 어라, IT 분야의 사람만 오는 게 아니구나. 어떻게 알게 됐냐 했더니 자기 남편이 몇 년 전에 여기 졸업했다 하더군요. 남편은 IT 쪽이라고 했습니다. 그냥 남편이 빙그레 웃으며 가보면 알거라고 했답니다. 이제와 돌아보니 AC2도 이 PSL과 비슷한 면들이 있다 싶네요.

이 과정에서 도대체 뭘 얻을 수 있는거냐 하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근데, 거기에 어떤 획일화된 답을 드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나마 드릴 수 있는 게 다음과 같은 종류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고 실험입니다. 내가 AC2 과정을 하면 3개월 후에 어떤 상태가 되어 있을까에 대해 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질문에 솔직하게 답해보세요.

  1. 오늘을 포함해 최근 일주일간, 나의 개인적인 웰빙면에서 얼마나 잘 지냈나요? 0점 매우 나쁘다, 10점 매우 좋다.
  2. 오늘을 포함해 최근 일주일간, 가까운 사람이나 가족 등과의 관계에서 얼마나 잘 지냈나요? 0점 매우 나쁘다, 10점 매우 좋다.
  3. 오늘을 포함해 최근 일주일간, 직장/일 등 사회적인 면에서 얼마나 잘 지냈나요? 0점 매우 나쁘다, 10점 매우 좋다.
  4. 오늘을 포함해 최근 일주일간, 내 삶의 전반적인 만족도 면에서 얼마나 잘 지냈나요? 0점 매우 나쁘다, 10점 매우 좋다.


위에 답한 점수를 모두 합산해 보세요. 만약 25점 이하라면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우울감을 겪고 있는 상태이고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AC2 레벨1 과정에 들어오시는 분들의 평균 점수는 23점 정도 됩니다.

근데, AC2를 약 3개월 경험하고 나면 이 점수가 약 10점 오릅니다. 33점이 되는 것이죠. 따라서, 아까 네가지 문항에 답을 했던 점수에 각기 2.5점을 더한 점수 상태로 응답했다고 상상을 해보세요. 만약 각기 5점씩으로 답을 했다고 치면, 거기에서 2.5점씩 오른 7.5점은 내가 어떤 상태일까 상상해 보는 것이죠. 감이 오시나요?

내 삶에서 이 정도의 변화가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싶은 분들은 신청을 서두르세요. 선착순으로 통상 1주일 안에 모집 종료가 되거든요.
by 애자일컨설팅 | 2021/03/22 17:03 | 트랙백 | 덧글(3)
트랙백 주소 : http://agile.egloos.com/tb/5946833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Commented by 익명 at 2021/03/31 12:00
이 글에서 제시한 테스트는 얼마나 신빙성 있는지, 관련 레퍼런스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 수 있을까요?
Commented by 애자일컨설팅 at 2021/04/01 13:59
위의 측정도구는 Outcome Rating Scale이라고 하며, 심리학계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최근에도 다양한 연구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편입니다. 심리상담계에 일고 있는 "근기기반" 운동의 선봉에서 활용되고 있는 도구입니다.

참고 논문으로는

1. Miller, S. D., Duncan, B. L., Brown, J., Sparks, J. A., & Claud, D. A. (2003). The outcome rating scale: A preliminary study of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feasibility of a brief visual analog measure. Journal of brief Therapy, 2(2), 91-100.
2. Campbell, A., & Hemsley, S. (2009). Outcome Rating Scale and Session Rating Scale in psychological practice: Clinical utility of ultra‐brief measures. Clinical Psychologist, 13(1), 1-9.

를 보시는 걸로 시작하면 좋습니다. 제가 블로그에서도 잠깐 언급했습니다. http://agile.egloos.com/5820588
Commented by ㅇㅇ at 2021/09/23 13:52
최근에 애자일 사이트에 들어가서 추천 도서 목록을 보려고 하는데 사이트가 접속이 안 되더군요. 뭐가 문제일까요?

:         :

:

비공개 덧글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