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살아남는 엔젤 투자자(혹은 창업가)가 되는 법
아래 글을 읽으시기 전에 간단한 설문(3-5분 내에 응답 가능)을 먼저 답해주셔야 합니다. 설문 응답 전에 아래 글을 먼저 읽어버리면 그 이후에는 영향을 받아 정확한 설문 응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설문















자 설문 응답 다 마치셨나요? 응답 결과는 메일로 받으셨을 겁니다 -- 혹시 받지 못하셨다면(메일전송은 하루 500명 쿼타 ^^;;) 직접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7점 척도 질문 14개에 대해 1번부터 14번까지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면...

  prediction= 100*(p2 + p3 + p7 + p9 + p11 + p14)/42
  control= 100*(p1 + p4 + p5 + p6 + p8 + p10 + p12 + p13)/56



그러면 이제 시작하겠습니다.

창업가(entrepreneur)가 어떠해야 한다,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한다는 데에 개인과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개인의 경험에 기반하고 있고, 아시다시피 이 경우 여러가지의 인지적 편향에 영향을 받습니다.

관련해 제가 자주 인용하는 스토리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친구를 잘 사귀게 도와주는 전문가가 어떻게 가르치는지 봤더니 "안녕! 난 데이비드야. 난 너의 친구가 되고 싶어. 네 이름은 뭐니?"라고 알려주고 있었는데, 실제 몇 년간 연구를 해봤더니 그렇게 하는 애들이 가장 친구를 못사귀었다는 연구도 있지요.

오늘은 엔젤 투자자와 창업가에 대한 연구를 하나 언급해 볼까 합니다.

북미 전역 600여명에 달하는 엔젤 투자자를 샘플로 하여, 결과적으로는 10년간 1000여건의 엔젤 투자에 대한 분석을 했습니다. 조사대상자들은 평균 9년의 엔젤 투자 경력을 갖고 있었고, 창업가로는 평균 13년 경력을 갖고 있었죠.

이 사람들에게 14가지 질문이 있는 설문(위에 여러분이 하신 것)에 답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이 사람들의 과거 투자 실적 자료를 모두 모아서 함께 통계 분석을 해봤습니다.

우선 두 가지 용어 정의를 하고 넘어갑시다.

대박(논문에서는 homerun) : 투자자가 100% 이상의 내부수익률(IRR)을 얻고(쉽게 말해 대박 터뜨리고) 투자회수(exit)한 경우

쪽박(논문에서는 음의 IRR) : 투자자가 음의 내부수익률을 얻고(쉽게 말해 쪽박 차고) 손 뗀 경우

그리고 설문을 하게 되면 예측성(prediction) 점수와 통제성(control) 점수가 나오게 되죠? 이것도 정의를 해봅시다.

예측성 점수 : 투자 결정이나 사업을 할 때 불확실성을 관리하기 위해 분석과 예측에 얼마나 의존하는가를 말합니다. 0에서 100점 사이의 점수입니다. 대다수의 MBA 과정이나 창업가 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는 방식이죠. 본 연구에서 투자자들의 평균은 78점이고 표준편차는 13점이었습니다.

통제성 점수 : 투자 결정이나 사업을 할 때 불확실성을 관리하기 위해 미래 예측에 의존하기보다 내가 조정/통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거기에 있는 변수의 확률을 조정해서 내가 원하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방법을 말합니다(이런 면에서 non-predictive control이라고도 합니다). 역시 0에서 100점 사이입니다. 앨런 케이가 말했던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가 비슷한 느낌이죠. 이 연구에서 투자자 평균은 74점, 표준편차는 14점이었습니다.

예측성 점수는 인과성(Causation -- 원인에서 결과를 예측하는 것에 집중)과 관련이 깊고, 통제성 점수는 효과성(Effectuation -- 어쨌건 가치있는 효과를 내는 것에 집중)과 관련이 깊습니다. 감이 오시겠지만 두 점수 사이에는 중간정도의 음의 상관관계(즉 하나가 높으면 다른 하나는 낮아지는 경향)가 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사라스 사라스바티(Saras Sarasvathy)를 필두로 하여 이 "효과성"에 대한 인지과학적, 경영학적 연구가 봇물 터지듯이 많이 나오고 있고, 최근 창업가 연구에서는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입니다.

사라스바티 교수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뛰어난 창업가 그룹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이 두 그룹은 똑같은 선택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정반대의 선택들을 했습니다(여기서 뛰어나다는 것은 15년 이상에 걸쳐 여러번 창업을 해봤고 최소 하나 이상의 기업공개를 했던 사람들로, 수입이 2000억에서 7조원에 달하는 회사를 이끌고 있는 사람들).

뛰어난 창업가일수록 효과성 중심으로 사고하고, MBA를 갓 졸업한 사람이나 초짜 창업가, 혹은 기존 대기업에 일하는 사람들일수록 인과성 중심으로 사고한다는 발견을 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글이 너무 길어질 수 있어, 다음 기회에 더 소개하도록 하고, 일단은 원래의 주제, 즉 엔젤 투자자로 돌아가도록 합시다.

앞서 말한 예측성 점수와 통제성 점수 이 두 가지 점수와 대박, 쪽박 간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 분석을 해봤습니다.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예측성 점수는 대박이나 쪽박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통제성 점수는 달랐습니다.

통제성 점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쪽박의 빈도수가 떨어졌습니다. 놀라운 점은 그렇다고 예측성 점수가 높은 사람보다 대박 숫자가 떨어지지도 않았다는 점입니다. 다시말해 다른 사람들만큼 대박도 잘 치면서, 쪽박은 적었다는 겁니다.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통제성, 효과성을 강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하지만 현재 학교나 사회에서는 정반대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they question the usefulness and value of current emphases on predictive approaches in entrepreneurship courses that are built around formal business plans and standard analytical techniques.

격식적인 사업 계획서와 표준적인 분석 기법들 중심으로 꾸며진 창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과정은 예측 기반 접근법을 강조하고 있는 중인데 본 연구는 그것이 정말 유용한지,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희망적인 부분은 이 효과론, 통제 기반 논리/사고를 가르치고 배울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는 거지요. 간단하게는, 앞서 설문에서 내가 어떻게 답했는가 다시 살펴보고, 예측성 쪽의 지문은 무엇이고 통제성 쪽의 지문은 무엇인지 찾아보고 나는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했었는지,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죠.

저는 이 효과성(Effectuation)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변화를 만들어 내야 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예컨대, 조직에서 어떤 방법론을 도입하는 경우도 그러합니다. 그래서 약 2년 정도 계속 이 주제로 공부하고 연구해 오고 있습니다. AC2 과정에서는 효과성을 중요한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실제로 변화 도입에 성공하는 리더(혹은 직원)와 그렇지 못한 리더(혹은 직원)들을 관찰해 보면 이 부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효과성의 원칙들과 이를 어떻게 현실에 적용하는가 하는 구체적 내용들은 다음 기회에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by 애자일컨설팅 | 2012/08/03 12:57 | 트랙백 | 핑백(2) | 덧글(25)
트랙백 주소 : http://agile.egloos.com/tb/5680649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Linked at [Weekly Choic.. at 2013/02/27 20:20

... 나리오 속에 자신을 이입하고 스스로 CEO라고 생각하면서 아래 질문에 답해주세요. (테스트참여 및 내용보기) etnews _ 할리우드 최근 유행은? SNS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 5일 ... more

Linked at 애자일 이야기 : 개인이 조직.. at 2013/05/09 09:06

... 문가가 아닌 분들에게도 통찰을 줄 수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한 번 보실 것을 권합니다. ^^ 참고로, 강연 중 언급되는 "설문"은 오래 살아남는 엔젤 투자자(혹은 창업자)가 되는 법을 말합니다. --김창준 p.s. 벌써 발표하고 반년이 넘었는데, 지금은 좀 더 버전업된 이야기들을 할 수 있을 것 같네요(그 때 시 ... more

Commented by 익명 at 2012/08/03 14:40
prediction: 62
control: 77
Commented by 글뻥 at 2012/08/03 17:24
음... 6기 RT때 들었습니다만, 굉장하네요...
저는 예측성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만, 테스트 결과 prediction: 69, control: 88 통제성이었네욤 -_-;;

Commented by 강석렬 at 2012/08/03 20:49
prediction: 69
control: 68
Commented by 528491 at 2012/08/05 11:13
prediction: 81
control: 79
Commented by 김동주 at 2012/08/05 23:01
prediction: 64
control: 84

흥미롭네요. 다음 포스팅 기대하겠습니다.
Commented by 장승용 at 2012/08/06 16:11
prediction: 93
control: 80

유익한 글 잘 봤습니다 ^-^
Commented by 리듬 at 2012/08/06 22:49
prediction: 50
control: 82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니... 원래 제 성향과는 반대로 나온것 같네요. ;;;
Commented by 감동맨 at 2012/08/09 11:04
prediction: 83
control: 75
Commented by dhyi123 at 2012/08/10 17:59
prediction: 83
control: 66
역시 전 사주에 나온 것 처럼 창업이나 투자를 하지 말아야..
Commented by 수학자 at 2012/08/12 13:08
prediction: 64
control: 59

저보다 낮은 점수는 없는듯..
Commented by Dozen at 2012/08/12 15:36
prediction: 76
control: 77

다음 포스팅 기대됩니다!
Commented by 나그네 at 2012/08/14 04:26
prediction: 45
control: 88
재밌네요 ㅎㅎ
Commented by 잭맨Q at 2012/08/18 12:16
prediction: 86
control: 75
딱히 불확실성을 관리할수도 없으면서, 분석과 예측에 너무 많은 힘을 빼버려서 정작 자신의 아이디어나 제품을 만드는 일을 놓치는 경영조직이 많은 것도 현실이 아닐런지요.
Commented by 지오아빠 at 2012/08/21 14:25
prediction: 64
control: 89

흥미로운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마술감자 at 2012/09/05 22:54
prediction: 83
control: 73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
Commented by 멉히 at 2013/04/12 15:35
prediction: 86
control: 100
Commented by 로쓰 Ross at 2013/05/09 03:03
prediction: 67
control: 88
Commented by Rose at 2013/06/06 23:34
prediction: 71
control: 86
Commented by hanstar17 at 2013/08/19 21:11
prediction: 86
control: 89

창업해본적이 없어서 그런지 배포에 점수가 높게 나왔네요.
예측은 해보지만 거기에는 "내"가 없기 때문에 참고만! 라는 자신감.ㅎㅎ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joofam at 2013/08/25 23:31
prediction: 64
control: 68
Commented by 홍짱 at 2014/03/18 18:13
prediction 81
control 86
잼있네요
Commented by SangsPark at 2014/06/11 13:47
prediction: 45
control: 79

좋은글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DAKR at 2014/12/30 00:47
prediction: 86
control: 79

재미있네요!
투자경험은 없지만 그래도 재미있게 했습니다!
Commented by 방랑자 at 2015/06/09 10:30
prediction: 48
control: 98

창업은 생각 안 하고 있었는데 의외의 점수네요.
Commented by seungeli at 2016/12/16 01:31
prediction: 89 control: 88
이거 정상인가요? 앤젤 투자에 매우 관심만 많은 1인입니다..

:         :

:

비공개 덧글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