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인터넷에서 다음 글을 발견했습니다.
달인이 되는 비결은 매우 단순합니다. ...매일 세수하고 양치하듯이 꾸준하게 반복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어떤 취지의 이야기(전문성 획득에 있어 반복의 중요성)인지 이해가 갑니다만, 한번 좀 삐딱한 시선에서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우리는 (거의) 평생 동안 세수와 양치질을 꾸준하게 반복했건만 세수와 양치의 달인이 안되고, 예컨대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양치질을 제대로 못해서 치과에 갈까요("이 쪽 이빨은 하나도 안닦으시나 봐요" 같은 소리를 듣고요).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이번에는 두 가지만 이야기해보도록 하죠. 동기가 부족하다이빨을 잘 닦는 것에 대해 일정 수준만 되면(예컨대 7살 수준만 넘으면) 더 잘하고자 하는 동기가 딱히 없습니다. 여러분 주변에 양치질과 세수 달인을 목표로 하는 분 흔하게 보십니까? 아니죠. 그래서 수십년 반복해도 그 자리인 것이죠. 하지만 이 요소만으로 설명하기 힘든 것이, 분명 치과의사에게 "양치질을 제대로 못하셨네요"라고 이야기를 듣고 보철 치료를 받고는 '그래 이제 제대로 꼼꼼히 양치질 하리라'고 작심을 해도 양치질 실력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가 많거든요. (허나, 아무래도 잘못된 양치질 등으로 심각한 치료를 받아 본 사람이라면 좀 더 신경을 쓰긴 할 겁니다 -- 얼마나 효과적인가는 차치하고) 피드백을 제때에 받지 못한다내가 양치질을 어떻게 했는지, 어디가 잘 되었고 어디가 부족한지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제때에 받지 못합니다. 이빨을 한 일년 닦다가(주로 정면거울 보고 깨끗해 보이나 그 정도만 확인) 치과에 가서는 의사에게 한 소리 듣는 정도로 느린 피드백을 받습니다. 우리가 매번 이빨을 닦은 직후에 내가 이빨을 어떻게 닦았는가에 대한 피드백을 받지 못합니다. 그래서 내가 뭘 잘 했는지 못했는지 알지 못하고 실력도 늘지 않습니다. 예컨대 이빨을 닦고 나서, 칫솔이 어디를 훑었는지 안훑었는지 색깔로 표시해 주는 시약(치면착색제, disclosing tablets) 같은 걸로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도 있고, 더 간단하게는 구강 거울(mouth mirror)로 이빨 안쪽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혹은 워터픽(oral irrigator)이나 치실(dental floss) 등의 제품으로 양치질 후에 이빨 사이, 이빨과 잇몸 사이(워터픽으로는 가능하나 치실로는 불가)를 청소해서 나오는 음식물 찌꺼기의 양 등으로 내 양치질 수준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워터픽을 처음 써보는 사람은 양치질 후에 워터픽 해보고 나오는 음식물 찌꺼기 양에 경악합니다. 정리하자면, 꾸준하게 반복하는 걸 통해 달인이 되려면 적어도,
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단순히 반복한다고 해서 달인이 될 수 없습니다. (IT 종사자의 맥락에서는 "당신은 몇 년 차"라는 글을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특정 영역에서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키고 싶은 사람이라면 혹시 그 일을 내가 양치질 하듯이 수십년을 단순히 반복해 온 것은 아닌지 반문해 보시고, 내 일에서 매 양치질 직후 구강거울이나 치면착색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없다면 어떻게 만들어 낼지를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특정 영역에서 개인이 성취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퍼포먼스는 경험을 오래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획득되지 않습니다. ![]() ![]() ![]() ![]() ![]() ![]() ![]() ![]() ![]() ![]() ![]() ![]() ![]()
|
메모장
이글루 파인더
최근 등록된 덧글
마음 고생 많이 하셨..
by Roeniss at 03/20 이글루스 문닫는다니.. by 유상민 at 03/14 http://ch.yes24.co.. by 최신주소 at 02/16 넵. 출처를 밝힌다면.. by 애자일컨설팅 at 01/11 안녕하세요! 개발 추.. by no-support at 01/09 좋은글 감사합니다... by 이범희 at 01/08 참고되었습니다. .. by tky7068 at 11/28 비교적 최근 논의를.. by 애자일컨설팅 at 06/17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by 냠 at 05/31 이 아티클이 커뮤니티.. by 321 at 05/31 최근 등록된 트랙백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by 無地note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by 無地note 무엇을 프로그래밍 할.. by 용기와 희망의 블로그 어떤 회사의 개발자 .. by 뒷담화 기록보관소 채용퀴즈 풀기 by 기록하기 다음 디브온 2013 코.. by 浩然之氣 3차 2그룹 SLiPP .. by Confluence: SLiP.. 어떤 회사의 채용 퀴즈 by The note of Lege.. 회사에서 일을 하는게.. by 알팅스님의 개발 스토리 이전블로그
2021년 03월
2020년 05월 2020년 02월 2019년 09월 2018년 12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7년 07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3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0월 2013년 08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2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3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라이프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