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벨트(Redbelt)라고 하는 영화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액션영화이고 어떻게 보면 깨달음을 주는 영화입니다. ![]() (이미지 출처는 위키백과사전) 극중에서 주인공이 말합니다. 마이크 테리: 네가 빠져나올 수 없는 상황은 없다. 너는 빠져나오는 방법을 알고 있어.이 영화의 캐치프레이즈는 "There's always a way out."(빠져나오는 방법은 꼭 있다)입니다. 이 말은 영화속에서 목조임을 당하는 상황, 또 사회적으로 곤란한 상황 모두에 대입됩니다. 가족 심리치료사 버지니아 사티어(Virginia Satir)는 자신과 타인, 상황에 대한 균형을 잡을 때 일치적(congruent)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와 함께 작업을 했던 제랄드 와인버그(Gerald Weinberg)는 그의 책 QSM3에서, "나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I have no choice)라고 하는 것은 비일치적(incongruent)인 행동이라고 말합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을 수 없다고 합니다. 회사라는 상황 하에서는 개인, 나 자신의 선택 여지가 없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주변을 보면 비슷한 상황에서 자신이 주도적으로 선택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다음 사례들은 모두 제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을이라는 사람은 자기 회사 의자가 불편하다고 계속 불만을 표현합니다. 그러면서 모 회사에서는 사원들에게 고급 의자를 사줬다고 부러워하기만 합니다. 갑이라는 사람은 자신의 집에 값비싼 의자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득 자신이 의자에 앉아 보내는 시간은 집에서보다 회사에서 훨씬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친구는 자신의 값비싸고 좋은 의자를 회사에 가져와서 씁니다. 집에는 구닥다리 의자를 두고요. 을이라는 사람은 회사에서 교육에 투자를 해주지 않는다고 불평합니다. 설사 교육에 보내준다고 해도 자신의 업무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교육만 허락해주고, 또 그런 교육은 이 회사를 나가면 별 도움이 안된다고 합니다. 갑이라는 사람은 TOC 교육을 입문, 중급, 고급까지 다 듣고 한번에 단 3명만 듣는 요나 코스도 듣고 있다고 합니다. 업무랑 바로 연관이 없는 교육인데 회사에서 보내줬냐고 물어봤습니다. (본인의 표현을 빌자면) 200만원 넘는 개인돈을 쳐발랐다(웃으면서)고 합니다. 휴가를 쓰면서 말이죠. 저는 앞서의 두 "갑"으로 부터 강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이 사람들은 회사가 망해도 살아남을 사람들이다. 꾸준히 자기계발을 할 사람들이다. 파랑새를 가까운 곳에서 찾거나 만드는 분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혹은 자기 투자에 주저하는 때면 이 분들을 떠올립니다. --김창준 ![]() ![]() ![]() ![]() ![]()
|
메모장
이글루 파인더
최근 등록된 덧글
마음 고생 많이 하셨..
by Roeniss at 03/20 이글루스 문닫는다니.. by 유상민 at 03/14 http://ch.yes24.co.. by 최신주소 at 02/16 넵. 출처를 밝힌다면.. by 애자일컨설팅 at 01/11 안녕하세요! 개발 추.. by no-support at 01/09 좋은글 감사합니다... by 이범희 at 01/08 참고되었습니다. .. by tky7068 at 11/28 비교적 최근 논의를.. by 애자일컨설팅 at 06/17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by 냠 at 05/31 이 아티클이 커뮤니티.. by 321 at 05/31 최근 등록된 트랙백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by 無地note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by 無地note 무엇을 프로그래밍 할.. by 용기와 희망의 블로그 어떤 회사의 개발자 .. by 뒷담화 기록보관소 채용퀴즈 풀기 by 기록하기 다음 디브온 2013 코.. by 浩然之氣 3차 2그룹 SLiPP .. by Confluence: SLiP.. 어떤 회사의 채용 퀴즈 by The note of Lege.. 회사에서 일을 하는게.. by 알팅스님의 개발 스토리 이전블로그
2021년 03월
2020년 05월 2020년 02월 2019년 09월 2018년 12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7년 07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3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0월 2013년 08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2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3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라이프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