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저는 전문성 연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공부해 오고 있습니다.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05년 4월호와 6월호(고수 : 무술과 프로그래밍에 대한 소고 1, 2)에 이런 전문성 연구 중에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의미가 있는 것들을 소개하는 글을 쓰기도 했지요.

요즘 아웃라이어라는 글래드웰의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사람들 사이에 전문성 연구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해하는 부분(http://no-smok.net/nsmk/CuttingQuotesDown)들이 종종 보여서 글을 씁니다. (참고로 글래드웰의 책은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좋아 보이는데 그 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는 좀 과대포장되거나 생략하거나 하는 부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글래드웰이 인용하는 1만시간 법칙 연구에 대한 겁니다.

사람들은 그 책을 보고는 자신이 하루에 8시간 일하고 일년에 몇 일을 일하니까, 일년에 도합 몇 시간 일하는 것이고, 지금까지 년차를 곱하면 시간이 나오는데, 그걸 1만 시간과 비교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비교하면 많은 사람들이 1만 시간을 넘거나 근접해 있을 겁니다. 그리고 나름 안심과 자기위안을 할 수 있겠죠. 하지만 반문해 보세요. 자신이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인지. 1만 시간은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가 되기 위한 최소 시간입니다. (바이올린 연주자에 대한 연구에서 5천 시간은 음악 선생님이 되는 수준, 7천 5백 시간은 "훌륭한" 수준이었습니다)

원래 연구에서는 시간 사용을 일, 놀이, 수련으로 나누었을 때 그 중 오로지 수련 시간의 누적만이 실제 퍼포먼스와 관련이 있더라는 발견을 했습니다.

따라서 개발자가 하루에 몇 시간 몰두해 일하냐로 따지지 말고, 하루에 몇 시간 오로지 수련(deliberate practice 특별히 자신의 기량을 높히기 위해 하는 수련 -- 자신이 이미 잘하는 걸 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수련을 하는 것)을 위해 시간을 쓰느냐로 따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체스 선수 연구에서 밝혀진 것은 이 선수가 토너먼트를 몇 시간 했냐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그 사람의 실력에 큰 영향이 없었습니다. 대신 자기가 혼자서 기보를 연구하고 연습하고 한 것이 유의미 했습니다.

이 사실을 유념하면서 다시 어림 계산을 해보세요. 내가 하루 중에 내 실력 개선을 위해 쓰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프로그래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요즘 일주일에 얼마나 수련을 하느냐로 현재 실력 수준을 가늠할 수 있었습니다.

--김창준
by 애자일컨설팅 | 2009/03/22 10:31 | 트랙백(19) | 핑백(13) | 덧글(17)
트랙백 주소 : http://agile.egloos.com/tb/4834009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Tracked from ironyjk's me.. at 2009/03/22 14:06

제목 : iron의 생각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more

Tracked from hschoi's me2.. at 2009/03/22 16:33

제목 : hschoi의 느낌
일류가 되기 위해서는 순수한 '수련'의 시간만이 유의미하다는 글에 뜨끔....more

Tracked from pope's me2DAY at 2009/03/22 20:35

제목 : 포프의 생각
1만 시간의 법칙 - 나도 오해하고 있었다…...more

Tracked from cmsong's me2.. at 2009/03/22 23:13

제목 : cmsong의 생각
▣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1만배 공감 합니다. :)...more

Tracked from gaemon's me2.. at 2009/03/23 00:30

제목 : 개멍의 생각
이런 쉬바알… 애자일 이야기 :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more

Tracked from cyah's me2DAY at 2009/03/23 08:57

제목 : 허리케인의 생각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북마클릿 시험해 보고 싶었음....more

Tracked from Richpapa how.. at 2009/03/23 11:47

제목 : 10,000 시간에 대한 단상 및 나의 아이디어
요즘 잘 가는 블로그에 10,000시간에 대한 토론이 뜨겁다. Tipping point, Blink의 저자인 말콤 글래드웰이 이번에도 보통사람(?)이 보기에 혹하는 책을 또 냈기 때문이다. "아웃라이어(outlier)". 나도 물론 읽었고(나중에 리뷰를 하겠다. 요즘은 블로그에 리뷰할 시간이 없다.) 비슷한 쓰레드를 남겨보고자 한다. 우선 나는 (전문가가는 되고 싶지만)전문가는 아니고 (성공은 하고 싶지만)성공한 사람이 아니다. 그저 목표점을 ......more

Tracked from 天劍之道 at 2009/03/23 15:57

제목 : 1만시간에 관한 포스트를 읽고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언제나 좋은 블로그이지만, 애자일님의 포스트를 읽고 있자니, 평상시에 생각했던 그러나 꼬집어 정리하지는 못했던 바를 잘 정리해주시네요. 좋은 부분이 있어서 기억해두기 위해서 발췌해 둡니다. "토너먼트보다는 스스로 하는 복기"라는 표현이 좋네요."... 중략 ... 따라서 개발자가 하루에 몇 시간 몰두해 일하냐로 따지지 말고, 하루에 몇 시간 오로지 수련(deliberate practice 특별히 자신의 기량을 높히기 ......more

Tracked from ringmaster's.. at 2009/03/23 17:28

제목 : 곡마단주의 생각
1만 시간의 법칙에 대한 의문점이 있었는데, 해답이 있었군요. 제가 프로그래밍을 업으로 삼은지 10년이 되었는데, 왜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가 되지 못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T.T 하기사 10년 일한다고 누구나 세계적 전문가가 되면 참 만만한 업계일 것 같습니다....more

Tracked from josephjang's.. at 2009/03/23 22:39

제목 : 세라비의 생각
이와 비슷한 얘기를 Steve Yegge가 한 적이 있죠. 'Contrary to what you might believe, merely doing your job every day doesn't qualify as real practice.'...more

Tracked from Extremely Ag.. at 2009/03/27 16:41

제목 : 10,000시간의 법칙 (2)
자주 가는 블로그 중 하나인 http://agile.egloos.com 에 가 보니 말콤 글래드웰이 자신의 저서 '아웃라이어'에서 언급한 10,000시간의 법칙에 대한 글이 몇개 올라와 있더군요.저는 대체로 10,000시간의 법칙 그 자체에는 동의하는 편입니다. 이전 글에서 박사과정 학생이 5년을 제대로 채우면 그게 9,000시간쯤 될거다 라는 이야기를 했는데, 저는 한편으론 '5년'이라는 시간도 '저절로 정해진 것은 아닐거다'라는 생각을 갖고......more

Tracked from Dsphome.net .. at 2009/03/29 15:56

제목 : 전문가와 1만시간법칙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신경과학자 다니엘 레빈틴의 연구결과입니다. 어느 분야건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다는 내용입니다. ... 1만 시간은 하루에 3시간씩 10년 동안 연습해야 나오는 분량입니다. ...출처 : http://www.econote.co.kr/event/content.asp?nid=49684&src=7200저희회사 엘리베이터에는 하루에 15분씩 활용하면 1년이면 책한권을 쓰고, 3년......more

Tracked from Desire is ot.. at 2009/03/31 23:27

제목 : 10,000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를 보고...
요즘 RSS에 맛이 들려 방문하게 된 Agile님의 블로그에... 10,000시간 법칙에 대한 글을 보았습니다. 우선 무식한게 죄라고... 10,000시간 법칙이라는게 있는지도 몰라다는 거에서... 한번 반성... 그리고 Agile님이 말씀하신 오해에.... 자신이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순수하게 수련에 10,000시간을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 제 가슴을 때리네요.... 전 제일 열심히 해야 하고... 제 생각에 제 인생에......more

Tracked from e-learning b.. at 2009/04/02 22:59

제목 : 아웃라이어의 핵심, 투자와 문화
아웃라이어 -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김영사 아웃라이어의 핵심은 2가지입니다. 책을 읽지 않아도 앞 부분의 추천사에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1.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려면 특정 영역에 1만 시간을 투자하라. 2. 인재육성을 위한 지원과 문화를 구축하라. 1번과 2번은 서로 다른 듯 엮여 있습니다. 얼핏보면 1번은 개인의 노력으로, 2번은 사회의 노력으로 비춰지지만 1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2번의 지원이 필요하고......more

Tracked from 於男 細說 at 2009/04/07 19:58

제목 : 1만 시간의 법칙
블로그 구독자 수를 늘리기 위한 블로그 비평의 두 번째 대상은 김창준씨의 애자일컨설팅입니다. 아이들 양육에 관심이 많은 관계로 첫 번째 비평 글은 1만 시간의 법칙을 선택했습니다. 뭐, 특별한 주장이 있는 것은 아니기에 관련 글에 대한 저의 생각을 이야기 해야겠네요. 1만 시간의 법칙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라는 책에 전문성 연구가 나오나 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1만 시간 법칙을 이야기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1만 시간의 양과 질에 대해 ......more

Tracked from reunion's me.. at 2009/07/16 23:14

제목 : reunioN의 생각
만시간의 법칙 이라는거 결국 자신과의 싸움. 누구의 강요없이 혼자서 인내하는 시간....more

Tracked from sunfuture's .. at 2010/05/07 20:38

제목 : 허니몬의 알림
글을 쓰려고 하다가 다시 보게 된 '1만 시간 법칙의 오해'// 중요한 것은 자신이 '수련'을 위해서 얼마 만큼의 시간을 투자하느냐 인 것이다. // 라는 말이 가장 인상깊음. 일을 오래한다고 해서 전문가가 되거나 달인이 되는 게 아님....more

Tracked from donghyuc's m.. at 2010/07/23 10:29

제목 : 엄마곰의 생각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난 몇시간이나 할애했을까나.....more

Tracked from 뒤돌아 보지 않는다, .. at 2012/10/28 21:11

제목 : 개인적으로 아웃라이어를 즐겁게 읽었는데.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이런식으로도 생각이 가능한 거였구나....more

Linked at 애자일 이야기 : <아웃라이어.. at 2009/03/26 14:56

... 지난번 글(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에서도 언급을 했던 아웃라이어라는 말콤 글래드웰이 쓴 책의 오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예전에도 오역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죠).저는 책 나온다는 소문이 돌 때부터 아 ... more

Linked at Cloudscape : 1만 .. at 2009/03/26 18:39

...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든 것 같았어도 요즘 같이 힘든 때에 어딘가 의지가 되는 내용이었다. 김창준님이 이에 대해 좀 더 명확한 설명을 주고 있어 링크를 건다. http://agile.egloos.com/4834009 Posted by admin on Thursday, March 26, 2009, at 11:39 am. Filed under The road taken ... more

Linked at 애자일 이야기 : 아웃라이어 .. at 2009/03/31 16:43

... 이 블로그에서 말콤 글래드웰의 &lt;아웃라이어&gt;에 대한 이야기를 몇 번 했습니다(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 &lt;아웃라이어&gt;의 오역 몇가지). 또 관련 글을 쓰게 될 줄은 몰랐는데, 정말 쓰고 싶어서 손가락이 근질거리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의 조선일보 인터뷰를 봤 ... more

Linked at 나는 Coder다. : 개발자.. at 2009/07/23 08:57

...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a>」를 참고하라).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데 1만 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법칙으로 설명되고 있다.자신이 IT 분야 종사자라면 그 법칙을 듣고 대부분 어림추산을 해봤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 내 경력이 6년이고, 야근도 좀 해주고 했으니까, 대충 계산하면... 오호, 1만 시간 넘네. 아싸.’그런데 좀 이상하지 않나? 우리는 하루 세 번 3분씩 이를 닦는다. 대략 다섯 살부터 닦았을 것이고 죽기 전까지 닦을 것이다 ... more

Linked at Lanian's Little .. at 2010/04/20 16:16

... 1만 시간의 법칙에 대한 오해난 찬성. 전적!!! 으로 공감함.SI업계는 쵸큼 다를 지도 모르겠으나....애니웨이 ~ ... more

Linked at 자그니 블로그 : 거리로 나가.. at 2011/08/25 14:50

... 공하려면 투자한 시간이 적어도 1만 시간이라는 공을 들여야 가능하다"라는 식으로 오해됐던 말이기도 하다. 실은 어떤 일에서 "마스터"급의 단계에 오르려면 1만시간 정도의 수련이 필요하다는 말로, 1만시간을 들이면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우리가 말하는 성공에는 세가지 조건이 맞아 떨어져야 한다. 타고난 재능, ... more

Linked at 어린왕자와 여우 : 1만 시간.. at 2011/09/02 15:09

...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프로그래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요즘 일주일에 얼마나 수련을 하느냐로 현재 실력 수준을 가늠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 http://agile.egloos.com/4834009 ... more

Linked at cantabile : 빅데이터.. at 2012/10/27 21:57

... 이후, 데이터의 시각화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데 오늘 이후, R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연구를 이 블로그를 통해 진행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적어도 1만 시간 이상은 연구에 몰두해야 좀 안다고 할 수 있을까? ... more

Linked at 애자일 이야기 : 당신이 제자.. at 2013/06/12 23:22

... 취후 번역)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도적 수련"이 중요하다는 점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의도적 수련의 양적인 부분(예컨대 1만 시간 법칙 등)은 많이들 아시지만, 의도적 수련의 질적인 부분, 즉 어떤 조건을 갖춰야 의도적 수련이 되는지, 더 효과적인 의도적 수련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해야 ... more

Linked at 제목없음 at 2013/06/13 20:32

... 이기 위해서는 &#8220;의도적 수련&#8221;이 중요하다는 점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의도적 수련의 양적인 부분(예컨대 1만 시간 법칙 등)은 많이들 아시지만, 의도적 수련의 질적인 부분, 즉 어떤 조건을 갖춰야 의도적 수련이 되는지, 더 효과적인 의도적 수련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해야 ... more

Linked at 애자일 이야기 : 아무리 노력.. at 2014/09/01 12:22

... 7월 중순 어느날 뉴스에 이 전문성 연구에 대한 기사들이 뜨더군요. 소위 1만 시간 법칙에 대해 세간에 널리 퍼진 믿음(여기에 대해 오해가 많은데 관련해서는 "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와 "달인이 되는 비결"을 참고)을 뒤흔드는 연구결과라며 아래와 같은 내용이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논문의 결론은 아무리 노력해도 ... more

Linked at 과학이 바라본 노력과 재능의 .. at 2014/10/30 15:45

... 어느날 뉴스에 이 전문성 연구에 대한 기사들이 뜨더군요. 소위 1만 시간 법칙에 대해 세간에 널리 퍼진 믿음(여기에 대해 오해가 많은데 관련해서는 &#8220;1만 시간 법칙에 대한 오해&#8220;와 &#8220;달인이 되는 비결&#8220;, &#8220;수십년 동안 전문가가 안되는 비결&#8220;을 참고)을 뒤흔드는 연구결과라며 ... more

Linked at Edging My Way Fo.. at 2016/09/06 11:27

... 1만 시간 법칙 ... more

Commented by sunnyboy at 2009/03/22 18:16
가슴 아픈 이야깁니다.
자기개발만 1만시간은 너무나도 먼 목표네요.
Commented by 종욱 at 2009/03/23 00:54
요즘 들어 자기의 능력을 올려야 한다는 의식은 많이 퍼져 있긴 한 것 같습니다만, 정작 엉뚱한 산에 올라가는 사람도 많은 것 같고요.
말씀하신대로 '기보를 연구'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네요.
Commented by 영후 at 2009/03/23 09:19
아웃라이어에서 빌 게이츠나 빌 조이가 "의식적인 수련" 만으로 1만 시간을 계산했을 것 같진 않을거 같구요. 일단은 그냥 "내가 푹 빠져 일 한 시간" 으로 1만 시간은 맞는거 같아요. 다만 일반인들보다 훨씬 똑똑한-_- 1만 시간이고, 음, 저는 형이 deliberate practice를 하면 1만 시간보다 훨씬 적게 걸릴 것이다. 라고 하실줄 알았는데요 : )
Commented by 영후 at 2009/03/23 09:32
글래드웰이 실제로 이 deliberate practice와 '그냥 일' 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쓴 것이 오해를 사는거 같아요. 책에서 나온 음악가나 하키 선수들은 당연히 자신의 기량을 높이기 위한 수련이 1만 시간의 대부분이었을 테지만, 프로그래머나 변호사의 예에서는 그냥 일이 주로 나오죠. 즉 후자의 경우에선 '그냥 일' 이 얼마나 교육적인가, 얼마나 수련에 가까운가 같은 깊이에 따라 계산에서 큰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이는 XP 경력을 3배로 쳐준다는 것과도 상통하는 거 같습니다.
Commented by 엄성권 at 2009/03/23 10:00
호사가들의 말에 놀아 나는건 아닌지...
Commented by 김은정 at 2009/03/23 11:08
ㅓㅏ라눙히ㅢㅏㄴㅇ릏
Commented by YUZI at 2009/03/23 11:26
이런 책이 요사이 베스트셀러군요.

비슷할 것 같은 책으로 "실용지능"-로버트 스턴버그 외 를 봤었는데,
거기에서는 체스 선수가되는데 3000시간, 체스 마스터가 되는데 30000시간을 추산하더군요.

하지만, 마스터와 그랜드마스터의 차이는 시간에 따른 경험기억이 아닌
지식베이스의 조직화에서 갈렸다는 실험결과가 쓰여 있더군요.

지능과 지식에 대해서는 여전히 여러관점에서 논란이 많다는...
Commented by 김기웅 at 2009/03/23 11:30
좋은 지적이신 것 같습니다. 유한 킴벌리의 학습과 생산성에 대한 좋은 예시가 될 것 같네요.
Commented by 준짱 at 2009/03/23 13:18
평소 좋은글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다음주부터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읽어볼 생각으로
말콤의 다른책을 읽어보고 있습니다. 책의 소개자료만 봐서는 다들 오해하기
딱좋을 것 같내요. 1만시간이라는 일반화된 시간개념과 전문가 라는 또다른 일반화된
개념을 합쳐서 공식화 하기에는 여러가지 무리가 있어 보이네요. 예를 들어
개인능력이나 환경, 업종 외에 전문가라는 도달 수준측정 등 너무나 다양한 인자들이
있는 것 같내요. 다음주부터 재미있게 글을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곰돌이 at 2009/03/28 11:42
요즘 유행하는 말이 떠오르네요. "현실은 시궁창". 실력 향상을 위한 수련을 할 여유는 커녕 아픈 몸 돌볼 시간조차 없는 삶이니.. 참 답답합니다.
Commented by 달룟 at 2009/04/01 09:04
청년의 하루는 노인의 1년과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1만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에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Commented by 초보그래머 at 2009/06/02 08:22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요 몇주전 1만시간의 법칙을 읽고 아 그런건가.. 1만시간만 하면 나도 되려나 이런 생각이 있었는대... 이글을 보고 생각이 잘못 됬다는걸 깨우치고 가내요^^ 일로서 하는게 아니 수련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군요~! 물론 일을 하면서도 실력은 쌓인다고 하지만 그외 적으로 자기 발전을 위한 수련을 하지 않으면 더 많은 발전이 없을 것 같내요 ~~!!

프로그래머 일을 시작한지 이제 약 1년이 안됬는대 그동안 보면 너무 게을렀던거 같내요. 회사에서 하는 일외에 따로 집에서라던지 쉬는 시간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실력향상을 위해 노력했던 적이 없는거 같내요~_~.. 매일 야근한다 이런 걸 핑계로 들 수 있겠지만 솔직히 역시 그런 이유는 핑계 밖에 되지 않는거 같내요 앞으로 작은 시간이라도 나에 대한 수련을 게을리 하지 않고 1만시간을 쌓아 전문가가 되도록 노력해봐야겠습니다.
Commented by egloos at 2009/07/23 08:59
순수수련이라 중요하네요..
Commented by sk at 2010/01/29 23:10
퍼갑니다! ^^
Commented by 미아 at 2011/03/03 10:57
옷, 아무생각없이 무작정하는 것보다는 뭐가 부족한지를 진지하게 생각하면서 하는 것이 중요하군요.
Commented by 이장석 at 2011/03/15 11:50
글 잘 보았습니다. 노력은 시간에 비례한다라는 말이 생각하게 하는 군요.
Commented by 행인 at 2012/12/13 14:38
예전부터 능력올릴려는 의식은 많았고 의외로 베스트셀러는 바쁜 현대인에게 근본적으로 쓸데없는게 많네요.

:         :

:

비공개 덧글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