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 유지 비결
반어적입니다. 변화를 유지하다니. 영어로는 How to Sustain Changes 정도로 번역할 수 있겠습니다. 어떻게 내가 새롭게 변화시킨 것이 안정화되도록 할 수 있을까.

생명체는 계속 변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항상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항상성이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핵심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죽음을 가져오는 핵심이기도 합니다.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지 않고 계속 원상 복귀해버리는 겁니다.

우리 생각과 달리 변화는 쉽습니다. 어려운 것은 변화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틀에 한 번 씩 담배를 끊을 수 있습니다. 어려운 것은 담배를 끊은 채로 일년을 유지하는 것이지요.

컨트 벡이 Agile 2006에서 변화 유지의 비결을 세 가지로 압축해서 말해줬습니다.

  1. 공동체 Community
  2. 공약 Commitment
  3. 설명가능성 Accountability
하나씩 살펴봅시다.

공동체는 같이 변화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서로 모인 것을 말합니다. 외화를 보면 종종 나오죠. 우울증 걸린 사람들의 월요 모임 같은 거요. 브래드 피트가 나오는 "파이트 클럽"이라는 영화에 보면 에드워드 노튼이 이런 모임들만 찾아다니죠.

상상해 보세요:

스무명 남짓한 사람들이 둥그렇게 앉아 있다.

(초짜인 듯한 청년이 어깨를 들썩이며 말한다) "저는 TDD를 시작한지 일주일 되었어요, 그런데 어제 오늘 연속 TDD를 안했어요 으흐흑~"

(노련해 보이는 아줌마가 얼싸안고 토닥여 주며) "괜찮아요 괜찮아, 처음에는 다 그런 거에요"

변화를 유지하려는 공동체가 있으면 서로 격려해주고 때론 비판하고 또 같이 해답을 찾기도 합니다.

다음은 공약입니다. 영어로 Commitment인데, 여기에 딱 들어맞는 우리말 단어가 없습니다. 공약이라고 하면 엇비슷합니다. "저는 오늘부로 담배 끊을 거에요"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선전하는 것이 한 가지 예가 되겠죠. 꼭 그렇게 선전까지 하지는 않더라도, 내가 반드시 뭘 하겠다 하고 발을 푸욱 담그는 겁니다. 발가락만 살짝 담그는 것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제가 시간이 되면 한번 끊어 볼게요" 이건 Commitment가 아닙니다.

마지막은 설명가능성입니다. 역시 좋은 역어를 못찾겠습니다. XPE2E를 번역할 때에는 맥락에 따라 "책임"으로 번역하긴 했으나 좀 못마땅합니다(사실 켄트는 XPE2E 출간 후에 이 단어를 더 중요하게, 또 특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어의 Responsibility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ccountability는 Account라는 동사에서 왔습니다. Account는 설명하다, 설명을 제공하다 이런 뜻입니다. "개똥아, 너 왜 이번 여름 방학 숙제 안했니?" 이 질문에 아무말도 못하면 Accountable 하지 못한 겁니다. "아 제 일기장에 보시다시피 가족이 세계여행을 하느라 못했어요"라고 말하면 Accountable 한 겁니다. 꼭 무슨 일이 끝나고 나서만이 아니고, "개똥아 너 방학 숙제 어떻게 되고 있니?"라고 물었을 때 개똥이가 지금까지 뭘 했는지 보여줄 수 있어야 Accountable 한 겁니다. 그래서 설명가능성이라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들이 데드라인을 맞추지 못했다면 기획자에게 무슨 일 때문에 느려졌는지 완전히 까고 설명해 주는 겁니다. 또 언제라도 설명해 줄 준비가 되어 있는 게 설명가능한 겁니다. TDD는 그런면에서 설명가능성을 높혀줍니다. 나는 이런 이런 부분을 고려해서 디자인 했고, 어떤 면을 테스트 했다는 것이 바로 드러나고 또 자동으로 남으니까요.

이런면으로 볼 때 설명가능성은 투명성과 관련이 깊습니다. 하지만 동일하지는 않겠지요.

제 주변에서 이 세가지를 잘 지키는 예를 몇가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우선 제가 사랑하는 후배인 유상민군입니다. 그는 자기가 하루 하루 영어, 한자공부, 수영을 했는지 안했는지 그걸 만천하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설명가능성이 있는 것이죠.

이번에는 L모 전자에서 근무하는 신제용군입니다. 이 친구는 자신의 하루하루의 기상시각을 2003년부터 매일 공개하고 있습니다.

공약과 설명가능성 모두 잘 지키고 있습니다. 공동체 부분은 주변 지인들이 저 사람들의 위키를 자주 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충족되고 있습니다.

김승범군은 르네상스 클럽(일명 생각을 곱하는 모임)에 나와서 자기 꿈은 앨런 케이(Alan Kay, OOP의 아버지이자 PC 역사의 산 증인)를 만나는 것이라고 공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고는 다음 해인가 앨런 케이를 직접 만났습니다. 또 작년에 OOPSLA 컨퍼런스에 다녀와서는 르네상스 클럽에서 그 술회를 하면서 다음 번에는 논문 제출자로 참석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올 10월에 열리는 OOPSLA 2006에 논문 제출자로 참석합니다. 그는 최근 르네상스 클럽에서 자신에게 이 모임이 많은 의미가 있다는 이야기를 해주기도 했습니다.

회사의 경우를 볼까요? Agitar라고 하는 소프트웨어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자기가 만드는 제품의 품질을 완전히 공개해 버립니다. "우리는 고품질의 제품을 만들겠다"는 공약을 하고 그걸 설명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래 너희 얼마나 고품질의 제품을 만드냐?"고 물어 봤을 때 보여줄 것이 있다 이거죠. 일종의 "운동"으로까지 볼 수 있는데, URL이 openquality입니다. 공개된 품질. 현재 코드에서 에러가 몇 개인지, 코드의 복잡도 분포는 어떻게 되는지 다 볼 수 있습니다. 제가 xper.org에 썼던 글을 인용하겠습니다.

여기엔 대단한 사회적 함의가 있다. 만약 모든 사람이 자기가 만드는 것에 대해 이런식으로 공개를 한다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는 상당히 달라질 것이고,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서비스가 훨씬 더 만족스러워질 것이다.

변화를 유지하고 싶다면, 우선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도반)를 찾으세요. 그리고 공약을 하시고, 설명가능성을 높히도록 하세요.

--김창준
by 애자일컨설팅 | 2006/08/23 21:46 | 트랙백(12) | 핑백(3) | 덧글(16)
트랙백 주소 : http://agile.egloos.com/tb/2425453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Tracked from 如是我聞 at 2006/08/23 23:55

제목 : 변화가 계속 일어나도록 하려면?
변화 유지 비결에서 관련 글쓰기 합니다. 연재 사이트 같은 경우는 전문 작가, 아마추어 습작생, 고급 독자, 막 시작하는 독자 등 여러 종류의 사람이 모이기 때문에 어떤 공통되는 관심사를 끌어내기가 힘듭니다. 그러므로 이 사람들으 한군데 묶으려면 용광로 같은 활력을 줄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변화는 지속적으로......more

Tracked from 낭만20대이야기. at 2006/08/24 09:06

제목 : 변화 유지 비결
변화 유지 비결 ...more

Tracked from 한걸음씩... at 2006/08/24 14:06

제목 : 변화 유지 비결
즐겨가는 애자일이야기(http://agile.egloos.com/)에 좋은 글이 있다. " 변화를 유지하고 싶다면, 우선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도반)를 찾으세요. 그리...more

Tracked from SoWhat? at 2006/08/28 13:05

제목 : 변화 유지하기.
변화 유지 비결 변화는 쉽다. 변화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 본문중에서.. [공약하기] 일본의 www.hatena.ne.jp 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관련 회의를 인터넷으로 공개를 한다고 한다. 반응도 좋고 그에따라 사용자들에게 회자되면......more

Tracked from 애자일 이야기 at 2006/11/11 13:15

제목 : 켄트 벡이 대답하길 2탄
켄트 벡이 대답하길 1탄에서 이어집니다. Q: 루비가 정말 자바를 대체할 앞으로의 주류 개발 언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된다면 언제쯤으로 생각하는지, 루비에서 가장 보완해야 할 점은? (김정현님)(참고로 루비Ruby는 최근 웹 2.0과 함께 급부상하고 있는 인기 스트립트 언어입니다)켄트 왈, 자신 같은 사람의 대답 없이도 스스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루비가 주류가 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확실한......more

Tracked from The Last Mind at 2007/01/12 14:35

제목 : 2007년 공약: 출근 시간 지키기와 운동
제가 현재 가지고 있는 나쁜 습관 중 하나는 출근 시간을 잘 지키지 않는 것입니다. 제가 현재 잘하지 못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운동을 소홀히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2007년에는 이 두가지 점을 개선해보기로 했습니다. 따라서, 다음의 두가지를 2007년 공약으로 지정합니다. 출근......more

Tracked from zbmoN^Note at 2007/03/22 22:55

제목 : 2007년 공약
오늘 애자일 이야기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통해 '변화유지의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방법을 사용하는 사람중에 저랑 비슷한 사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사람의 2007년 공약은 제시간 출근과 운동하기입니다. 제 문제도 똑같습니다. 날이 갈수록 제시간에 출근 못하는 날이 늘어가고 있으며, 운동부족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의 공약을 그대로 따라하기로 했습니다. 출근 시간 지키기 30분 이상 늦는 경우를 실패로 봅니다. 운동하기 ......more

Tracked from 談 笑 at 2007/03/27 01:41

제목 : 꺼져가는 변화의 의지를 바라보며..
2월 말즘부터 자주 글쓰고 할때만 해도 꽤 일이 한가로웠습니다.하루에 너댓시간만 집중해도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정도였던것 같고..때마침 좋은 컨퍼런스도 갔다오고 또 좋은 블로그들도 많이 알게되어 몇 번째인지는 모르지만또 다시 변화를 위한 새로운 시작이 있었습니다.자주 실패하는 시도였기에 블로그에 나름의 계획을 적고 또 조금씩 노력하고 있는것들 또 공부하고 있는 것들을적는데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함께 해보자 라고 누군가와 함께하진 못했지만 자주 ......more

Tracked from 日新又日新 at 2007/04/01 23:58

제목 : factotum's new challenge
내일부터 새로운 도전을 하려고 합니다. 흔들리는 목표를 가다듬고 성공의 샴페인을 터트릴 날을 위해~ 도전과제 1. 아침수영 박태환의 쾌거에 다시 자극받아 수영을 다니기로 했습니다. 예전에 수영장다닌지는 1년이 넘어서 자유형(크롤영법),배영,평영,접영등을 할줄안다고 ......more

Tracked from 민창의 이야기 at 2008/06/03 00:16

제목 : ComengLUG 첫번째 토론 시간. 시간 관리.
블로그의 시간이 정지된 듯 합니다. 신경을 많이 못썼습니다. 그래도 역시 다시 돌아오는거 보니...시험기간은 시험기간인가 봅니다.;;; 저번주 오랜만에 ComengLUG 모임을 했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몇 주간 모임을 못했거든요. 아직은 모임을 이끌고 있는 장이 없으면 모임의 운영이 잘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처음 모임을 만들때의 추구했던 리더십 스타일을 정착 시키기엔 많은 노력이 드는것 같습니다. 그래도 몇몇 회원들로 부터 모임을 제......more

Tracked from Travel Log at 2008/07/07 14:55

제목 : 기상 시간과 몸무게 변화 일지 공개
이 글은 '변화 유지 비결' http://agile.egloos.com/2425453 의 트랙백입니다. 1. 제목대로입니다. 기상 시간과 몸무게 변화 일지를 공개합니다. http://soandso2.cafe24.com/zeroboard/zboard.php?id=diet 위 링크 또는 이 블로그 상단 우측의 CHANGE 를 클릭하면 변화 일지용 제로보드가 나옵니다. 2. 왜 하는가? 조금 더 일찍 일어나고, 체중 조절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우선 ......more

Tracked from hybridsoul's.. at 2011/04/26 14:58

제목 : hsoul의 생각
변화 유지 비결...more

Linked at dahlia님의 글 - [20.. at 2008/03/31 01:12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 Mar 2008 0 metoo 소리미르가 만든 Me2DO를 보니 예전에 애자일 이야기에 올라왔던 공약(commitement)에 대한 내용이 떠올랐다. 미투데이에 할일을 적어놓으면 다른 사람이 보게 된다. 그러니까, 이것은 일종의 *공약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오전 1시 11분 me2do 꿈보 ... more

Linked at mulriver님의 글 - [.. at 2008/04/01 12:37

... 운 친구를! ← 2008년 4월 1 1 Apr 2008 0 metoo (제(3의)길) 코딩하며 실천가능성을 높이려면... 한가지 지속하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방향성있는 지속적인 변화를 유지하기도 어렵고. ㅜㅜ; 오후 12시 37분 코딩 실천가능성 제3의길 좁은길 댓글 (0) « 2008년 03월 31일, 월요일   Today 63 / Total ... more

Linked at links for 2008-0.. at 2008/05/16 23:32

... el.icio.us — by gauloz @ 11:32 pm SeeReal.org :: 프로젝트 세븐일레븐 (tags: 7days time lifehacks) 애자일 이야기 : 변화 유지 비결 (tags: agile lifehacks) 시스템 관리 툴킷: 프로세스 관리 기법 (tags: system admin process) 리눅스 파일 시스템 분석 ( ... more

Commented by 나그네. at 2006/08/23 23:09
오...^^:.
Commented by 다라나 at 2006/08/23 23:31
개인적으로 공동체에 도반이란 단어를 쓰신 것에 깊이 공감합니다.
저도 이걸로 한번 고민해봐야겠네요.
좋은 생각거리 주신 점 실천으로 보답해 보겠습니다. ^^
Commented by 기린 at 2006/08/24 00:39
제가 있는 공동체에서도 '공약'을 매우 권장합니다. 학생, 선생, 직원 할것없이 모두 매년 12월 31일부터 3,4박을 함께 묵으며 1년 계획을 세우고 공개할 정도죠. 그러나 지속적인 공개, 설명가능성의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더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 모델로 좀더 나은 성찰문화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Commented by 애자일컨설팅 at 2006/08/24 10:30
[다라니님] 반갑습니다. 저는 도반이라는 말이 참 좋더군요.

[기린님] 어, 오랜만입니다! 살아계시죠? 기린님의 실험도 공개해 주세요~
Commented by 티오 at 2006/08/24 10:36
아! 이런 내용이었군요. 한참동안 궁금해하고 있던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한주영 at 2006/08/24 11:26
감동적인 글입니다. 제 자신이 그동안 원했던 변화를 유지 못했던 이유를 잘 알겠습니다. 사실 스스로도 알면서 실천에 못옮긴 면이 크죠. 변화를 원하는 제 여친에게는 Accountability를 요구하면서 정작 스스로는 그렇지 못했으니..
변화 유지에 성공하겠습니다!! ^^
Commented by 제임스 at 2006/08/24 12:58
openquality 마음에 드는데요. 확대 적용을 검토해봐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Commented by 기린 at 2006/08/25 09:58
네. 여러 가지로 쇄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실험계획을 세우고 있는 중인데, 느낌이 좋네요. 다시한번 고마워요^^
Commented by 백승우 at 2006/08/29 01:09
아.. 맘에 드는 글이지만, 지속적으로 되새김을 하지 않으면 금방잊어버리기 쉬운 글...(저한테만 해당됩니다.^ _^)
그래서.. 퍼가요~ ㅋ
Commented by 굴돌 at 2006/08/30 11:15
링크타고 왔습니다. 전부터 XP에 관심이 좀 있었는데 이글루스 주민이신줄은 몰랐네요 ^^;
블로그를 쓰면서 하나의 포스트를 업데이트하면 쓰는 분은 저 말고 처음이군요(라고 해봤자 가본 블로그도 몇개 없지만요 ^^;;..) 블로그에 위키의 이력기록 기능이 추가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막연히 해봤습니다 ^^; (아 링크 신고입니다.)
Commented by 버섯돌이 at 2006/09/01 16:58
변화를 너무나 원하는 시점에 이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제가 운이 좋네요. XP 정신이 삶아 녹아들기를 ...
Commented by [1002] at 2008/06/16 13:45
오랜만에 이 글을 다시 읽게 되는데, 다시금 고민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 좀 더 적극적인 공동체. 공동체에게 설명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도 개인에게 일종의 피드백을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오랜 관계를 가진 사람일 수록, 혹은 해당 주제에 대한 관심도가 슬슬 떨어졌을 때 이러한 피드백은 점점 줄어듭니다.
* 여전히 쉽지 않은 '설명가능성' 에의 '설명'의 형태. 예전에는 이 설명가능성에 해당 하는 것이 '구체적인 수치로 드러나야 하는, 일종의 measure' 라고 생각했는데, 꼭 수치로 표현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그냥 서술형 5분 글쓰기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설명가능성의 내용은 measure 처럼 무언가 '발전을 위한 끌개' 가 되어주어야 하리라 생각합니다.
Commented by Mono at 2008/07/06 15:23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공동체와 공약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었는데, 설명 가능성은 새로운 요점이군요.
Commented by 강철 at 2009/09/06 14:21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조직을 세팅 한든 단계라면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으로 구성하면 쉽게 될 수 있을텐데..

이미 구성된 조직에 새로운 시스템 및 프로세스가 잘 적용 될 수 있는 방법이 고민입니다.

무척이나 힘들고 성과가 잘 안보이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잘되면 좋지만 시스템으로 안착하는데 강한 거부를 하는 조직원들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는것이 또한 스트레스입니다.

아놔~ 머리 아퍼..
Commented by hsoul at 2010/02/22 11:45
accountable 을 타당하다 정도로 해석하는건 어떨까요.
Commented by 아치븐 at 2010/10/06 09:59
아주 흥미 롭군요.. 제 스스로 관리 하기 위해서 웹에 올리려고 했지만, 부끄러움 때문에 그러지 못했는데..
저도 해봐야 겠군요..

:         :

:

비공개 덧글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