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2 레벨1 과정인 40기가 4월 5일부터 시작합니다. 이번에도 코로나로 온라인 기반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http://www.ac2.kr/participate
상반기 유일한 과정이고 올해 총 2번 열리게 되는 과정 중 첫번째입니다. 이 과정은 별도의 홍보 활동 없이 2009년부터 총 40기수나 열리게 되었네요. 약 400여명이 참가를 해주셨습니다. 그 분들의 입소문 하나로 이제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 제럴드 와인버그의 PSL 과정이 생각이 납니다. 1974년부터 매년 진행된 워크숍이었는데요. 저는 2010년도에 참가를 했습니다. 과정 시작 전날 호텔에 도착을 하면 웰컴 디너 파티 같은 게 열립니다. 그날이 떠오르네요. 식탁 맞은 편에 어떤 여성분이 앉으셨는데 뭐하냐 물어봤더니 유기화학자인가 뭐 그랬습니다. 신기했죠. 어라, IT 분야의 사람만 오는 게 아니구나. 어떻게 알게 됐냐 했더니 자기 남편이 몇 년 전에 여기 졸업했다 하더군요. 남편은 IT 쪽이라고 했습니다. 그냥 남편이 빙그레 웃으며 가보면 알거라고 했답니다. 이제와 돌아보니 AC2도 이 PSL과 비슷한 면들이 있다 싶네요. 이 과정에서 도대체 뭘 얻을 수 있는거냐 하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근데, 거기에 어떤 획일화된 답을 드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나마 드릴 수 있는 게 다음과 같은 종류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고 실험입니다. 내가 AC2 과정을 하면 3개월 후에 어떤 상태가 되어 있을까에 대해 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질문에 솔직하게 답해보세요.
위에 답한 점수를 모두 합산해 보세요. 만약 25점 이하라면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우울감을 겪고 있는 상태이고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AC2 레벨1 과정에 들어오시는 분들의 평균 점수는 23점 정도 됩니다. 근데, AC2를 약 3개월 경험하고 나면 이 점수가 약 10점 오릅니다. 33점이 되는 것이죠. 따라서, 아까 네가지 문항에 답을 했던 점수에 각기 2.5점을 더한 점수 상태로 응답했다고 상상을 해보세요. 만약 각기 5점씩으로 답을 했다고 치면, 거기에서 2.5점씩 오른 7.5점은 내가 어떤 상태일까 상상해 보는 것이죠. 감이 오시나요? 내 삶에서 이 정도의 변화가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싶은 분들은 신청을 서두르세요. 선착순으로 통상 1주일 안에 모집 종료가 되거든요.
제가 몇 달 전부터 클래스101에서 과학적 정보 수집 대화법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인터뷰에 대한 글도 몇 번 썼고, 오프라인 공개 강연도 두어 번 했는데 사실 저는 기업 대상 컨설팅 및 코칭을 주로 하다 보니 일반인들이 이런 내용을 심도 깊게 접할 기회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주변에서 인터뷰했다고 하는 것들을 보면서 너무 안타까운 마음이 커서 이번에 작정하고 만들었습니다.
제목을 풀어보면 어떤 강의인가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나 이런 내용이 정리된 책이 있냐고 묻는 분들이 계신데, 아직 없습니다. 제가 다음 전문분야들을 직접 연구해서 통합한 내용입니다.
채용 인터뷰에서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질문이 훌륭한 질문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던데, 제 생각은 다릅니다. 적어도 대여섯 가지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습니다. 이 질문이 잘못된 이유가 있다면 뭘까요?
이런 분석을 보니까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맞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가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특히 그 말이 나를 유리하게 혹은 불리하게 하는지를 잘 모르고 있습니다. 클래스101 강의를 통해 이런 부분에 대해 눈을 뜨는 기회를 가져보시길 권합니다. 특히 그냥 동영상 강연만 보는 게 아니라(사실 동영상 강연의 교육 효과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낮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메일이나 전화 코칭이 가능한 옵션이 있는데 되도록 전화 코칭을 선택하실 것을 권합니다. 마지막으로 생각해볼 꺼리 하나를 드립니다. 다음 추천사항 중 근거를 통해 거짓으로 밝혀진 것은 무엇일까요?
--김창준
요 몇년 사이 애자일 컨설팅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훈련에 관심을 갖고 여러 실험을 해왔습니다. 첫 계기는 2016년에 우연치 않게 제가 허리를 다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사실 여러 연구를 통해 온라인을 통한 원격 교육의 효과성이 매우 떨어진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이수율도 상당히 낮고요. 그렇기 때문에 연구와 실험을 통해 수년간 고민을 해왔습니다. 이제는 효과적인 방식을 찾았다고 어느 정도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오는 3월에 시작하는 온라인 과정 소식 알려드립니다. AC2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외국에 거주하고 있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물리적으로 시간내기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개설된 과정입니다. 예전에는 AC2 과정 참가를 위해 회사에 휴가를 내고 워크숍 날마다 우리나라에 비행기 타고 와서 호텔에 묵으면서 과정 참가를 하신 분들도 꽤 되었는데요. 그런분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오로지 온라인으로만 진행되는 교육입니다. 그런데 시기적으로나 혹은 시간 등의 이유로 서울에 거주하시면서 신청하신 분들이 오히려 많습니다. ![]() ![]() ![]() 온라인의 특성을 더 잘 살리기 위해 이 과정에서는 마인크래프트를 학습 플랫폼으로 사용합니다. 여기에서 실세계와 비슷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애자일과 코칭, 야생학습 등을 익히게 됩니다. 이 과정은 역량모형 분석을 통해 설계되었으며, "함께 자라기"의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함께 면에서는 도움구하기, 갈등해결/예방/소화를 중점적으로 다루게 되며, 자라기 면에서는 야생학습과 프로토타이핑을 통한 핵심가치 피드백 얻기를 중심으로 다루게 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26기로 참여하셨던 Paul님의 인터뷰를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네요. 여러분에 이제껏 겪어보셨던 온라인 교육과 전혀 다를 것을 보장합니다. 참고로 이 과정을 하고 나면 여타 온라인 교육들이 모두 성에 차지 않게 되는 심각한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
|
메모장
이글루 파인더
최근 등록된 덧글
코딩을 막 배우고 있..
by 다다다 at 04/20 마음 고생 많이 하셨.. by Roeniss at 03/20 이글루스 문닫는다니.. by 유상민 at 03/14 http://ch.yes24.co.. by 최신주소 at 02/16 넵. 출처를 밝힌다면.. by 애자일컨설팅 at 01/11 안녕하세요! 개발 추.. by no-support at 01/09 좋은글 감사합니다... by 이범희 at 01/08 참고되었습니다. .. by tky7068 at 11/28 비교적 최근 논의를.. by 애자일컨설팅 at 06/17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by 냠 at 05/31 최근 등록된 트랙백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by 無地note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by 無地note 무엇을 프로그래밍 할.. by 용기와 희망의 블로그 어떤 회사의 개발자 .. by 뒷담화 기록보관소 채용퀴즈 풀기 by 기록하기 다음 디브온 2013 코.. by 浩然之氣 3차 2그룹 SLiPP .. by Confluence: SLiP.. 어떤 회사의 채용 퀴즈 by The note of Lege.. 회사에서 일을 하는게.. by 알팅스님의 개발 스토리 이전블로그
2021년 03월
2020년 05월 2020년 02월 2019년 09월 2018년 12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7년 07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3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0월 2013년 08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2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3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라이프로그
|